[PM] M/M(Man-Month)란 무엇인가?
회사에서 나의 역할은 개발자이자 PM이다. 그러다 보니 가끔 갑작스럽게 사업 관련 업무가 주어지기도 한다. 이번에는 최근 사업 미팅을 진행한 후, LLM 기반 챗봇 프로젝트의 M/M 산정을 요청받았고, M/M이라는 용어를 처음 접한 터라 관련 내용을 빠르게 학습하고 견적을 작성하게 되었다. 이에 추후 잊지 않기 위해 ‘M/M’이 무엇인지 기록을 남겨두고자 한다.
Keyword
- M/M(Man-Month) 이 무엇인지
- 어떻게 계산되는지
- 실무에서는 어떻게 견적 비용으로 연결되는지
M/M이란?
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연구원의 능력이 모두 같다는(기준 고정) 전제하에
1명이 한 달 동안 100% 투입되어 일한 양 을 1.0 M/M이라고 보는 노동량(Labor Capacity)
단위다.
예시
상황 | M/M 계산 |
---|---|
1명이 1개월 100%로 일함 | 1.0 M/M |
2명이 1개월 일함 | 2.0 M/M |
1명이 6개월 50%만 일함 | 3.0 M/M |
2명이 3개월 80%로 일함 | 4.8 M/M |
M/M = 참여율 × 참여기간(개월) × 인원 수
M/M이 중요한 이유
M/M은 단순히 ‘얼마나 걸릴까?’가 아니라
얼마만큼의 리소스를 썼는가
를 측정하는 지표다.
- 일정 조정
- 인력 할당
- 견적 산출
- 외주 계약 등
모든 프로젝트 관리와 비용 계산의 기본 단위가 된다.
M/M 적용 예시
예: 어떤 화면 UI 작업
작업명 | 기간 | 인원 | 예상 M/M |
---|---|---|---|
챗봇 대화 UI 구현 | 2개월 | 1명 | 3.0 |
나는 이런 부분에서 먼저, 이상한 점을 느꼈었다. 2개월 × 1명 = 2.0 M/M 아닌가? 라는 의문이 발생했었고, 이에 의문을 가지고 찾아보니 이 작업은 실제로는 1.5명 분의 일이었다고 판단되어 1명만 투입된다면 → 매월 150%로 과중하게 일해야 완수 가능하다는 뜻으로 적용할 수 있다. 즉, M/M은 ‘일의 양’이지 사람 수나 시간만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다.
M/M로 견적을 계산해보자
만약 기준이 되는 연구원의 연봉이 3,000만 원이라고 가정하자.
단가 계산
- 월 단가 = 3,000 ÷ 12 = 250만 원/M/M
총 M/M이 139이라면?
- 총 비용 = 139 × 250 = 34,750,000원
- 즉, 약 3억 4천 750만 원 수준의 인건비 견적
Summary
- M/M = 1명이 1개월 100% 일했을 때의 노동량
- 총 M/M = 참여율 × 인원 수 × 기간(월)
- M/M이 크면 작업량이 많다는 뜻, 사람이 더 필요하다는 뜻이 아님
- 견적 산출 시 연봉을 기준으로 월단가 × M/M 방식으로 계산
다음에 다시 견적 요청이 들어오더라도 잊지 않기 위해 이 글을 작성했다. 또한, 나처럼 개발자이면서 처음으로 PM 역할을 맡게 된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